3달 하꼬의 전적과 그간 운영했던 경험을 적었다. 업로드 3달째인 4월 5일은 우연하고 감사하게도 성적이 매우 좋은 날이었다.

앞으로는 구독자 증가를 목표로 두지 않고 영상 업로드 개수를 목표로 변경을 고려 중이다. 너무 무분별한 업로드는 영상 퀄리티를 낮추기 때문에 목표 변경은 생각중이다.

  • 동영상 갯수
    • 총 78 개

유튜브 구독자 추세

Image
퍼센트로 측정하면 감소한 것이지만, 절대수치로 봤을 땐 전 달에 비해 크게 증가했다. 구독자 300명 돌파는 목표한 기준보다 더 빠르게 도달해 주었다. 특히나 우상향 중이라는 것에 감사하다. 구독해 주신 구독자 분들이 너무나 감사하다.

Image
그래프가 1일 이전까지 표시되기 때문에 이 글을 쓰는 오늘은 추세가 아래로 다시 꺾였다.

주식 차트로 보면 쌍봉을 찍고 내려오는 그림이랄까?

구독자 300 ~ 1000명의 구간은 고난의 시간이라고 많이 봤다. 앞으로 어려운 구간일 것으로 예상되는데 이를 대비하여 여러 분석을 공부해보고 싶었다. 마침 유튜브에서 YouTube 분석 팁 메일을 보내주었다. 해당 내용을 공부하여 다음 분석글에 추가하도록 하자.

유튜브 조회수 추세

Image
조회수는 잘 나오는 영상과 완전히 반응 없는 영상으로 나뉘는데, 신기하게도 Shorts 영상 중 해리포터 BGM을 넣은 영상은 올리자마자 다음날까지 조회수 3000을 돌파하였고, 기세를 몰아 2탄을 만들어 2탄 또한 2100 조회수를 달성하며, 다른 조회수 20~30되는 영상에 비해 엄청난 크고 낮음을 보여주었다.

추측해 보건데, 해리포터 BGM은 많은 사람들이 좋아하는 영상으로 구글 알고리즘이 분류한 것은 아닐까? 별 기대 없는 영상인데 크게 조회수가 증가하였다.

틱톡 추세

Image

인스타그램 추세

Image

틱톡과 인스타그램의 변경 사항은 다음 달 부터 확인이 가능함으로 분석은 무의미해 넘어가도록 한다.

홍보하지 마라

매우 조심해야 한다

유튜버 관련 네이버 카페에 가입해서 채널 홍보를 했다. 그런데 결과는 의외였다. 싫어요 개수가 빈도 있게 클릭되었다. 심지어 구독을 통해 영상이 올라오자마자 싫어요를 누르는 사태가 벌어졌다.

이 내용은 매우 조심스럽지만 홍보하는 것도 선택이다. 분명 홍보를 통해 큰 효과를 보는 채널도 있을 것이다.

이와 같이 홍보를 통해 싫어요가 생기는 이유의 과거 사례를 카페에서 검색해 보았다. 홍보를 했을 시 유사 카테고리의 다른 유튜버가 싫어요를 의도적으로 누른다는 글이 종종 보였다. 서로 도와주기는 너무 각박한 세상이 아닌가 싶다. 하꼬 유튜버에겐 싫어요 1개가 크기 때문에 힘들기 마련이다. 신경 쓰지 않는 것이 방법이다.

필자는 홍보하지 않기로 하고 일부러 카페 조항과 다르게 카페 닉네임과 유튜브 채널은 다르게 설정했다. 카페 글을 보면 구독자나 높은 조회수를 가진 유튜버들의 글을 볼 수 있는데, 대부분 닉네임과 유튜브 채널 이름을 매칭 시키지 않은 것을 알 수 있었다. 분명 카페 닉네임만으로 홍보 효과가 있을 거라고 생각이 들지만 대부분 그렇게 하지 않은 이유는 분명 있을 것이다.

싫어요에 대처하는 마음 가짐

싫어요가 터치되는 이유는 시청자의 관심의 영역이기도 하다. 업로드하기 전 이 영상은 싫어요가 생기겠다. 생각되는 영상은 반드시 싫어요가 생겼다. 싫어요에 너무 상처받지 않고 무덤덤하게 넘어가되, 개선할 점은 있는지 더 생각해보고 있다.

특히 낮은 조회수나 낮은 구독자 채널은 더 싫어요가 쉽게 눌리는 통계가 있다고 한다. 시청자는 대형 유튜버의 영상보단 더 쉽게 누른다는 것이다.

시청자 입장에서 싫어요를 누르는 사례를 검색해봤을 때

  1. 영상 자체가 정말 별로다.
  2. 관심의 증거다 더 개선해라.
  3. 좋아요 100개 싫어요 0개 영상이네? 내가 싫어요 1개 최초로 눌러야지(변태)
  4. 영상이 마음에 들지 않는데 채널도 가벼운 채널이군 -> 쉽게 싫어요를 누르게 된다.

이 정도로 검색 결과를 정리했다. 2번과 3번은 이를 사전에 방지할 수 있는 방법을 찾아보았을 때 조회수가 일정 수치 이상 올라오지 않은 영상은 좋아요, 싫어요 숫자를 비노출하는 것이 효과가 있다고 하여 이를 적용했다.

이후 조회수가 증가된 상태, 영상에 대한 평가가 어느 정도 이루어졌을 때 좋아요, 싫어요 숫자를 공개로 변경하는 것도 방법이다.

블로그에서 홍보

필자의 블로그 또한 유튜브 링크나 자칫 홍보로 보일 수 있는 내용을 제거 했다. 채널을 유추할 수 있는 내용과 이미지 등을 모두 제거했다. 블로그 글과 유튜브 영상은 전혀 다른 내용이기 때문에 호기심에 채널에 유입되더라도 구독으로 이어지는 것은 매우 확률이 낮다는 계산이며, 영상은 영상으로 보여줘야 한다고 생각했다. 그래야 유튜브 채널에 찐 팬이 생기지 않을까?라는 생각이다.

예약 기능을 활용하자.

영상의 용량이 크다면?

ProRes로 영상을 만들면 영상 크기가 매우 커지는데, 4K 60 fps 기준 3분 영상이 40~50GB 정도 된다.
이는 Apple의 Compressor 4로 품질을 유지하며 용량을 줄여 해결이 가능한데, 필자는 아직 이 프로그램을 활용할 능력이 안된다. 40GB 영상을 업로드했을 시 업로드 평균 1시간, 유튜브에서 HD, 4K 처리 약 2시간 소요되며, 공개까지 총 3시간의 시간이 필요하다.
Image

유튜브는 영상 업로드 시 SD -> HD/4K 순으로 처리를 한다

저장 시 공개 상태 - 예약됨으로 저장할 수 있는데 이럴 때 사용한다.

  • 영상이 HD 이상의 화질이며 고화질로 시청자가 시청하게 하고 싶다.
  • 업로드 시간이 너무 늦은 새벽이다. 오전에 공개하고 싶다.

업로드 이후 유튜브 프로세싱이 생각보다 오래 걸리는데, 영상의 크기에 따라 다르다. 그래서 업로드 후 공개 상태를 예약하는 것은 매우 좋다.

시간, 요일의 전략

1일 1영상

유튜브 강좌를 보면 퀄리티 좋은 1일 1 영상이 가장 좋다고 한다. 실제로 100만 구독자를 가진 유튜버도 1일 1 영상을 하고 있으며, 대형 유튜버의 경우 전문 편집자가 편집을 해주는 것으로 보인다. 하지만 초보 유튜버는 그게 매우매우 어렵다. 직장을 가진 필자의 경우도 마찬가진데, 그래도 의식하고 지키려고 노력 중이다.

업로드 주기

필자의 경우 Shorts 3~4개(3~4일), 1분 이상 영상(3~4일 주기)으로 업로드하고 있으며 1분 이상 영상을 업로드하는 날에는 Shorts는 올리고 있지 않다. Shorts가 대부분 조회수가 반짝했다 사그라든다면, 1분 이상 영상은 꾸준히 조회수가 나오게 된다. 이것은 필자 채널 기준이기 때문에 채널마다 다를 수 있으므로 참고하자.

Shorts를 만드는 목적

Shorts가 알고리즘을 타면 2일에 조회수 1000~3000회는 나오게 되니 채널 홍보에 도움이 된다. 하지만 Shorts영상이 구독까지 이어지기는 쉽지 않다. 그럼에도 Shorts를 제작하는 이유는 틱톡에도 업로드한다는 장점이 있으며, 세로로 촬영했던 영상들이 많기 때문이다. 또한 유튜브 알고리즘을 통해 채널 홍보효과와 함께 시간이 없는 직장인인 필자는 더 빠르게 편집 가능한 Shorts영상 제작을 선호하는 편이다. 따라 채널의 섹션 또한 Shorts를 가장 상단에 배치했으며 관련 섹션만 2개이다.

예전에는 1시간 TV -> 30분 유튜브 -> 이제는 10분 영상도 길다고 하는데, 15초, 10초 영상은 시대의 흐름이 얼마나 빠른가를 생각하게 된다.

Shorts의 단점

꼭 Shorts를 만드는 것을 추천하는 것이 아니다. 냉정하게 판단해야 하는데 본인 채널과 성향에 맞춰 일반 영상만 제작할지, Shorts와 함께 할지 잘 생각해야 한다.

Image
보다 많은 노출 가능성이 있는 Shorts이지만 시청 총시간에는 포함되지 않는다. 따라 필자의 채널은 시청 총 시간이 72시간으로 매우 적은 편이다. 만약 앞으로 구독자가 더 많아진다면, 많은 업로드로 자연스럽게 채울 수 있을 거라고 생각한다.

1년 이상 운영하신 유튜버가 이 글을 보셨다면 필자를 가르쳐 주세요! 제발~~~

댓글남기기